경제

쿠팡 새벽 배송, 진짜 사라지나요?

2025.11.06 09:35
229
0
1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이제는 정말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 마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design by 슝슝 (w/ChatGPT)

 

아래 글은 2025년 11월 05일에 발행된 뉴스레터에 실린 글입니다.
전체 뉴스레터를 보시려면 옆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 뉴스레터 보러 가기]

 

 

결론부터 말하면, 아닙니다

 

지난 10월 28일, 전국택배노조가 쿠팡 등이 운영하는 ‘새벽배송’을 전면 금지하자고 주장했다는 보도 가 나오며 논란이 커졌습니다. 일상과 밀착된 서비스인 만큼 소비자 반발이 거셌고요. 동시에 택배 노동자의 입장을 다룬 기사들도 쏟아졌죠. 초기 여론은 대체로 부정적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새벽배송이 정말 사라질까요? 노조의 해명은 달랐습니다. 제안의 초점은 ‘새벽배송 전체 금지’가 아니라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의 초심야 시간대 배송 제한이었다는 겁니다. 이 시간대 근무만 금지하더라도 동선 등을 조정하면 새벽 수령 서비스 자체는 운영 가능하다는 입장 이었죠.

 

이처럼 당장 새벽배송이 없어질 일은 없어 보입니다. 현실적으로 전면 중단은 불가능에 가깝거든요. 그래서 업계에선 이번 이슈를 협상 국면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카드로 해석 합니다. 택배노조는 배송 단가 등 핵심 의제를 관철하려 강수를 던졌고, 쿠팡은 ‘새벽 배송 금지’ 프레임을 가져와 여론전으로 대응했다는 겁니다.

 

다만 실현 가능성과 별개로, 일주일 넘게 후속 보도가 이어지는 건 새벽배송의 초심야 운영을 둘러싼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전면 금지까지는 아니라도, 초심야 배송의 범위와 기준에 대해 안전·편익·효율을 함께 놓고 차분히 논의할 여지가 충분하거든요.

 


소비자 편익 대 노동자 건강권

관련 보도를 보면 논조가 뚜렷이 갈립니다. 규제 반대 측은 먼저 소비자 편익을 앞세웁니다. 익숙해진 혜택을 행정으로 빼앗는 건 부당하다는 것이죠. 더 나아가 새벽배송 인프라에 투자한 기업은 물론, 그와 거래하는 수많은 중소기업·소상공인·농가까지 연쇄 피해가 날 수 있다는 점도 근거로 들고 있죠.

 

여기에 “정작 현장은 규제를 원치 않는다”는 주장 도 이어집니다. 쿠팡 위탁 택배기사 1만여 명이 속한 쿠팡파트너스 연합회 설문에서, 응답자 2,405명 중 93%가 금지에 반대했다는 결과 가 이를 뒷받침하죠. 실제로 상당수 기사들은 초심야 제한이 도입되면 실질 임금이 줄 수 있다고 우려한다고 합니다.

 

반면 규제 필요성을 지지하는 쪽은 건강권을 최우선에 둡니다. 야간근로가 발암 물질로까지 분류될 만큼 유해하다는 점을 강조 합니다. 국내 법제는 야간근로에 1.5배 가산수당을 붙여 억제하려 했지만, 현실에선 오히려 야간근로를 선택하게 만드는 유인으로 작동해 왔다는 지적도 있죠.

 

“하고 싶은 사람만 하면 된다”는 반론에는, 일과 서비스가 구조화되면 결국 선택지가 좁아져 야간노동으로 떠밀리는 사람이 생긴다는 반박이 뒤따릅니다. 더욱이 새벽배송이 건강권을 훼손하면서까지 반드시 유지해야 할 ‘필수 서비스’는 아니라는 입장 입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는 품목을 신선식품·생필품 등으로 제한해 불필요한 영역을 줄이자는 제안 또한 이번 노조 안에 담겨 있습니다.

 


쟁점은 주문 마감 시간입니다

 

이 이슈가 어려운 건 양쪽 주장 모두 일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자 편익도, 노동자 건강권도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죠. 그렇다면 둘의 공존은 정말 불가능할까요? 이론적으로는 초심야 근무 없이도 새벽 배송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실에선 쿠팡 주문이 자정 직전에 집중되는 구조가 발목을 잡습니다.

  

쿠팡 새벽 배송의 강점은 “자정 1분 전까지 주문해도 다음 날 아침 도착”이라는 압도적 편의성입니다. 경쟁사 컬리의 샛별배송 마감(밤 11시)보다도 늦죠. 자연히 주문이 퇴근 시간대부터 자정 직전까지 몰립니다. 이렇게 특정 시간대에 쏠린 물량은 미리 처리하기 어렵고, 밤새 작업해야 정해진 시간에 맞출 수 있는 구조입니다. 결과적으로 이 편의성을 유지하려면 초심야 근무가 사실상 필수적이죠.

 

현실적으로 주문 분산 없이 초심야 근무 문제를 해결하는 건 어렵습니다

 

따라서 과도한 심야 노동 없이 쿠팡이 현재 방식의 새벽 배송을 운영하려면 선택지는 둘 뿐입니다. 첫째, 주문 마감 시간을 앞당기거나, 둘째, 같은 시간대 투입 인력을 크게 늘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쿠팡으로선 쉽지 않습니다. 오랜 투자 끝에 확보한 ‘늦은 마감·아침 도착’이라는 핵심 가치 제안을 스스로 낮추기 어렵고, 이익을 깎아 대규모 인력 증원에 나서는 것도 현실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 문제를 개별 기업의 자정 노력에만 맡기기 어렵다는 점이 분명 해지죠.

 


논의를 제대로 해봅시다

 

물론 관련 규제가 통과되면 당연히 쿠팡도 대응책을 내놓을 겁니다. 다만 그 대가로 소비자는 불편이 늘거나 더 높은 배송비를 부담할 수 있고, 택배 노동자 중 상당수는 이전보다 수입이 줄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다고 규제 없이 현 상태를 그대로 두는 것도 답이 아닙니다. 쿠팡 배송기사 과로사 논란에서 보듯, 건강권 침해를 넘어 생존을 위협하는 문제라는 점이 이미 드러났으니까요.

 

중요한 건 규제 자체가 목적이 되어선 안 된다는 점입니다. 규제 없이도 사회의 자정 노력으로 문제를 풀 수 있고, 반대로 규제가 만들어져도 의도와 달리 부작용만 키울 수 있습니다. 핵심은 ‘어떤 방식이 실질적 개선을 만들 것인가’입니다.

 

그래서 이번 논란을 계기로 새벽배송과 심야근로를 둘러싼 사회적 논의를 차분히 시작했으면 합니다. 어차피 한 번은 짚고 넘어가야 할 주제였습니다. 소비자·노동자·기업·정책 당국이 머리를 맞댄다면, 어렵더라도 현실적인 최적 해법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요?

 

 트렌드라이트는 국내 최대 규모의 커머스 버티컬 뉴스레터로, '사고파는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매주 수요일 아침, 가장 신선한 트렌드를 선별하여, 업계 전문가의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함께 메일함으로 전해 드릴게요.

#노동 #규제 #이커머스 #리테일 #택배
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나요?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