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트렌드

Z세대를 불러모으는 팝업스토어 디자인: 사례로 살펴보는 공간 디자인 전략

2025.09.15 13:30
49
0
0
  • 한눈에 보는 핵심요약
  •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Z세대를 불러모으는 팝업스토어 디자인 전략을 소개합니다. 🔎 팝업스토어 유형별 디자인 전략 톺아보기 - 굿즈 판매형 - 전시형 - 제품 체험형 - 브랜드 인지도 강화형


체류와 전환을 만드는 팝업스토어 공간 구성 전략

 

팝업스토어는 한때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임시 마켓에 불과했어요. 하지만 소비자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이 커지고, 브랜드가 단순 판매보다 인지도·호감·체험까지 노리는 전략으로 확대되면서 지금의 팝업스토어는 브랜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무대로 진화했어요. 운영 목적과 활용도가 넓어짐에 따라 팝업스토어를 통해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와 브랜드 세계관을 공간 전체에 녹여내는 설계가 무엇보다 중요해졌죠.

 

잠깐 스쳐 지나가는 방문이 아니라, 소비자가 오래 머물며 브랜드를 기억하게 하려면 공간에 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실제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화제성을 만들어낸 팝업스토어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고,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정리하려고 해요!👀

 

🔎 팝업스토어 유형별 디자인 전략 톺아보기

- 굿즈 판매형

- 전시형

- 제품 체험형

- 브랜드 인지도 강화

 

 

I 굿즈 판매형 팝업스토어

가나디의 쿠킹클래스 *스위트스팟 진행

 

더현대 서울 지하 2층, 아이코닉존에서 운영된 가나디 팝업스토어입니다. 쿠킹클래스를 메인 테마로 진행된 이번 팝업스토어는 제과제빵을 하는 캐릭터, 가나디 모양의 쿠키, 케이크 조형물 등으로 꾸며졌어요. 특히 가나디의 시그니처 짤인 '나 안아' 모양의 벌룬이 입구에 설치되어 더현대 서울을 찾은 수많은 고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했죠. 또한 판매 중심으로 진행된 행사인 만큼 굿즈존이 중앙에 크게 배치되었고 베이커리 콘셉트의 굿즈, 인형 키링, 대형 바디필로우 등 다양한 상품이 마련되었습니다. 

 

🔎 팝업스토어 공간 살펴보기’

1. 팝업스토어 입구와 외벽에 다양한 포토존을 설치해 팝업스토어에 대한 호기심 자극은 물론 캐릭터 인지도까지 동시에 높임

2. 포토존(입구) - 캐릭터 메세지 월(코너) - 굿즈존(중앙) - 결제존(코너) - 이벤트 존(출구)로 원 형태의 자연스러운 이동 흐름 설계

3. 내부는 포토존 대신 제품 매대와 이벤트 존 등을 중심으로 공간을 구성해 사진 촬영으로 인한 정체 구간을 최소화함

 

💡 다양한 상품 구성 + 포토존 = 매출 극대화

판매형 팝업스토어의 경우, 다양한 상품 구성도 중요하지만
포토존, 이벤트존 등을 함께 마련하면
더 많은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해 매출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I 전시형 팝업스토어

NCT 127 전시 THE GREAT UNITY *스위트스팟 진행

 

NCT 127의 3번째 월드투어 ‘NEO CITY - THE UNITY’를 소재로 한 전시가 동대문 DDP에서 진행되었습니다. 400평 규모로 운영된 이번 전시에는 콘서트 영상 상영존을 포함해 멤버별 메시지월, 인터뷰 비하인드 영상 전시존 등 팬들이 즐길 수 있는 콘텐츠들이 가득했어요. 콘텐츠 별로 공간을 분리하고 이동 통로를 콘서트장 백스테이지처럼 꾸며 '콘서트 비하인드 전시'라는 테마에 대한 몰입도를 높였죠. 또한 단순히 전시된 이미지와 영상을 관람해야 하는 행사와는 다르게, 팬들이 직접 메세지를 남겨 벽에 문구를 띄울 수 있는 체험이나 스크린을 터치하면 하트 이모지가 등장하고 좋아하는 멤버와 인증샷을 남길 수 있는 공간 등 인터랙션 콘텐츠가 마련되어 팬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어요.

 

🔎 팝업스토어 공간 살펴보기’

1. 전시존과 굿즈존을 분리해 내부 혼잡도를 낮췄으며, 출구 쪽에 굿즈존을 배치해 기념품 성격을 강화하며 구매 전환율을 높임

2. 영상 상영존에는 빈백을 두고, 메시지존에는 각 멤버 이름 조형물을 배치해 콘텐츠 성격에 맞춘 차별화를 주고 매력을 높임

3. 전시 입구부터 출구까지 '콘서트 백스테이지' 콘셉트를 일관적으로 담아내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

 

💡 스토리 흐름이 있는 동선 설계 = 관람 몰입도와 브랜드 기억 강화

단순히 볼거리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입구(스토리 소개) → 전시(체험) → 출구(구매)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하나의 스토리를 단계별로 완성해야 해요.

 

 

I  제품 체험형 팝업스토어 

필립스 바리스티나 *스위트스팟 진행

 

프리미엄 커피머신 브랜드 필립스는 신제품 바리스티나 출시를 기념해 체험형 팝업스토어를 열었어요. 입장과 동시에 ‘바리스티나 포터 필터 찾기’ 이벤트가 시작되는데요. 1층부터 2층까지 공간 곳곳을 돌아다니며 숨겨진 포터필터 7개를 모두 찾으면, 나만의 커피를 직접 만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어요. 이벤트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고객은 바리스티나가 배치된 다양한 무드의 쇼룸을 자연스럽게 경험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브랜드가 전하고자 한 제품의 무드와 디자인 메시지가 효과적으로 전달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1층 카페 공간과 연계해 제품을 직접 사용해 나만의 레시피로 커피를 만들어볼 수 있는 체험까지 제공하면서, 제품에 대한 매력과 호감도를 더욱 높였어요.

 

🔎 팝업스토어 공간 살펴보기’

1. 제품을 단순히 진열하지 않고 강조하고 싶은 기능·디자인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품 전시

2. 카페 체험과 같이 제품을 직접 사용해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제품의 실사용 가치를 전달함

3. 이벤트를 통해 팝업스토어 공간 전체를 자연스럽게 탐색하도록 유도함

 

💡 제품 체험 중심 설계 = 기능 이해와 구매 전환 강화

체험 과정에서 고객은 브랜드가 강조하는 포인트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게 돼요.

체험 직후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장 구매 혜택을 더하면 전환 확률이 높아집니다.

 

 

I  브랜드 인지도 강화 

풀무원 맛탐정 사무소 *스위트스팟 진행

 

풀무원의 대표 캐릭터 맛탐정 ‘풀떼기’ IP를 활용해 MZ세대를 타깃으로 진행한 체험형 팝업스토어에요. 풀떼기와 방문객들이 함께 맛탐정이 되어 풀무원 제품을 탐구하는 콘셉트로 구성되었으며 제품과 관련된 체험형 게임을 진행하며 자연스럽게 풀무원 세계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체험 중간에는 탐정 옷과 안경을 끼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포토부스, 탐정 사무실처럼 꾸며진 포토존 등이 마련되어 팝업스토어테마의 몰입도를 높였어요. 또한 전체 미션 클리어 시, 자사몰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등을 증정해 이후 전환까지 유도했습니다.

 

🔎 팝업스토어 공간 살펴보기’

1. 거울 포토존, 탐정 콘셉트 포토부스 등 촬영 요소를 곳곳에 배치해 방문객이 자연스럽게 사진을 찍고 공유하도록 유도

2. 풀무원의 대표 캐릭터 ‘풀떼기’를 중심으로 공간을 설계해 브랜드 세계관과 방문객 경험을 연결하며 친근감 높임

3. 제품 관련 미션을 해결하고 쿠폰 보상을 제공해, 현장 경험이 온라인 자사몰 구매로 이어지는 구조 설계

 

💡 호기심을 부르는 스토리텔링과 체험, 공간 디자인의 조화

아무 개연성 없이 브랜드 로고나 히스토리를 드러내면 오히려 거부감이 생길 수 있어요.

대신 소비자의 시선을 끌 장치를 먼저 두고, 흥미로운 체험 속에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녹여내야 합니다.

 

 

팝업스토어 디자인은 이제 단순한 공간 연출을 넘어, 브랜드 경험을 설계하는 핵심 전략이 되었어요. 방문객이 공간에서 얼마나 오래 머물고, 어떤 기억을 가지고 돌아가느냐에 따라 브랜드 인지도와 호감도가 달라집니다. 브랜드만의 특별한 팝업스토어를 만들고 싶다면,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으로 관심을 끌고 -> 체험 속에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녹이고 -> 공간 전반에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메시지를 반영하는 설계가 반드시 필요해요!

 

운영하려는 팝업스토어 형태에 맞춰 오늘 전해드린 인사이트를 적용해 보세요. 만약 공간 설계나 전략 수립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면, 언제든 아래 버튼을 눌러 문의 남겨주시고요!🙋🏻‍♀️

 

스위트스팟 팝업스토어 디자인 사례 더 보기 > 

 

 

  

 

 

#팝업스토어 #공간디자인 #오프라인마케팅 #트렌드 #마케팅
이 글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수록 인사이트가 커집니다.

    추천 콘텐츠